네 이웃의 의견을 탐하라   

2012. 6. 1. 11:31


우리는 흔히 좋은 판단을 하려면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라는 말을 하곤 합니다. 자신의 의견이 다른 이들의 것보다 더 근거 있고 더 가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의 일반적 경향이 좋지 않은 판단을 이끈다는 경험에서 나온 조언이겠죠. 하지만 사람들은 정작 의사결정을 내릴 때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판단하는 이득을 의심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고수하고 근거를 보강하려고 합니다. 대상이나 상황을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자신이 가진 편향을 없애거나 줄일 수 있다는 점이 상투적인 격언이 아니라 사실에 가깝다는 것을 증명한 연구가 있습니다.

헤브루 대학의 일란 야니프(Ilan Yaniv)는 모든 참가자들에게 어떤 음식을 보여주고 칼로리를 맞혀보라는 과제를 제시했습니다. 참가자들이 음식 이름을 보고 자신이 생각하는 칼로리 값을 쓰면, 곧바로 5명의 다른 사람들이 그 음식에 대해 예상한 값이 컴퓨터 화면 상에 나타나도록 했습니다. 참가자들은 그 데이터를 보고 최종적으로 자신의 예상값을 기입했죠. 야니프는 다른 그룹의 참가자들에게는 자신의 예상값을 최종 기입하지 말고 '당신과 짝지어진 사람이 있는데, 그 사람은 이 음식의 칼로리가 얼마라고 예상할 것 같은가?'에 답하라고 요청했습니다.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최종적으로 판단할 것을 요구한 것이죠.



'자기 입장'에서 판단한 참가자들보다 '타인 입장'에서 판단한 참가자들이 최초 예상값을 더 많이 수정하는 경향이 발견되었습니다. '자기 입장' 참가자들은 5명의 의견을 보고 나서도 최초값을 고수하는 경우가 50.3%에 달했지만, '타인 입장' 참가자들은 16.8%만 최초값을 유지했습니다. 그렇다면 정확도는 어떤 차이가 있었을까요? 전체적으로 '타인 입장' 참가자들이 최종적으로 제시한 칼로리 값이 '자기 입장' 참가자들의 것보다 더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기 입장' 참가자들의 평균 절대 오차가 77.5였는데 반해, '타인 입장' 참가자들은 그 값이 62.8이었으니 말입니다.

간단한 실험이지만, '타인은 어떻게 판단 내릴 것 같은가'라 질문에 답한 값이 오차가 적었다는 사실은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라는 조언이 틀리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어제의 글에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객관적인 판단이 불가능하다면 '다른 사람이라면 이 상황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라고 질문함으로써 자신도 모르게 실제에 가깝지 않은 판단을 내릴 위험을 줄이는 것이 최선이겠죠. 

이와 비슷한 실험이 하버드 대학의 심리학자인 대니얼 길버트(Daniel T. Gilbert)에 의해 실시되었습니다. 길버트는 여학생들에게 특정 남학생과 5분간의 '스피드 데이트'를 실시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남학생과 데이트를 마친 첫 번째 여학생은 남학생과의 대화가 얼마나 즐거웠는지에 대해 쓰고 그것을 100점 척도로 평가했습니다. 길버트는 두 번째 여학생을 초대하여 남학생의 프로필과 사진을 보여 주거나, 첫 번째 여학생이 남학생과의 대화에 대해 쓴 글을 보여 주었습니다. 그런 다음 그 남학생과의 데이트가 얼마나 즐거울지 100점 척도로 예상해 보라고 했죠. 그리고 남학생과 5분간 데이트를 즐긴 후에도 대화가 얼마나 즐거웠는지 평가하도록 했습니다.

그 결과, 데이트하기 전 남학생의 프로필을 본 경우보다 첫 번째 여학생이 남학생과의 대화에 대해 쓴 글을 본 경우에 더 정확한 평가를 내렸습니다. 첫 번째 여학생의 의견을 참조할 때 오차가 49%나 줄어들었던 겁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두 번째 여학생들 중 75%가 남학생의 프로필 정보를 볼 때 데이트의 즐거움을 더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게다가 84%의 여학생들은 미래에 만날 남자의 프로필 정보가 있으면 그 남자와의 데이트가 어떨지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고도 믿었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수용해서 더 나은 판단을 내렸다는 사실을 믿지 않는다는 의미였습니다.

결정은 자신이 내리는 것이라 타인을 배제해야 한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결정의 결과는 자신이 책임지는 것이기에 판단의 질을 높일 수 있다면 타인의 입장에 서서 판단하거나 타인의 의견을 수용하는 자세가 실리적입니다. 여러 의견을 듣고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상황을 판단하는 사람이 독선의 위험을 피할 줄 아는 현명한 의사결정자라는 점을 새기기 바랍니다. '네 이웃의 의견을 탐하라.' 뛰어난 의사결정자가 지켜야 할 계명 중 하나입니다.


(*참고논문)
- When guessing what another person would say is better than giving your own opinion: Using perspective-taking to improve advice-taking.

- The Surprising Power of Neighborly Advice.


  
,

아들과 함께 한 투철한 실험정신?   

2009. 5. 13. 11:20

어제 집에서 혼자 점심을 먹을 일이 생겼다. 혼자 먹는 밥이 적적하여 뉴스나 볼 요량으로 평소엔 잘 안 보는 TV를 틀었다. 틀고 보니 채널이 EBS였다. 아들이 가끔 EBS에서 방송하는 어린이 프로그램을 좋아하기 때문이리라.

역시 EBS답게 여러 명이 어린이들이 나와서 놀이 비슷한 활동을 하고 있었다. 그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오락 프로그램이겠거니 짐작을 하고 YTN으로 채널을 옮기려고 하는 찰나, 화면에 뜨는 단어가 심상치 않아 보였다.

도덕성

화면 하단에 뜬 프로그램 타이틀을 보니, '다큐 프라임-아이의 사생활-제2부 도덕성'이었다. 도덕성의 근간을 이루는 요소들이 무엇인지 다양한 심리학적 실험으로 알아보는 프로그램이었다.

볼수록 빠져 드는 프로그램이었다. 도덕성이 높은 어린이와 평균인 어린이들을 구분하여 각각 어떤 행동 특성을 보이는지 비교하는 모습이 흥미로웠다. 프로그램은 도덕성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주장을 내놓는다.(프로그램 중간부터 봐서 그 앞의 내용은 모르겠다.)

첫째, "도덕성은 타인의 입장을 인지하면서 발달한다"
둘째, "도덕성이 높은 아이는 자제력이 높다"
셋째, "도덕성은 권위, 강압, 경쟁 압박 등에 의해 손상되기 쉽다"

첫번째 주장을 위해, 프로그램은 4살 짜리 아이와 7살 짜리 아이를 각각 등장시켜서 비교실험을 행했다. 다음과 같이 뿡뿡이 인형이 보이게 아이를 앉히고 뿡뿡이의 등 뒤에 곰 인형을 앉힌다.

아이-->    <---뿡뿡이       <-- 곰

선생님이 묻는다.         "지금 뿡뿡이의 무엇이 보이니?"
아이가 답한다.            "뿡뿡이 눈이요."
선생님이 또 묻는다.     "그러면, 곰 인형은 뿡뿡이의 어디를 보고 있을까?"
아이가 답한다.            "뿡뿡이 눈이요."

4살 짜리 아이는 곰 인형도 자신과 똑같은 모습을 바라본다고 생각한다. 타인의 입장을 알아차리기엔 아직 어리기 때문이다. 반면 7살 짜리 아이는 "뿡뿡이 등이요" 혹은 "뿡뿡이 꼬리요"라며 곰 인형의 관점을 말할 줄 안다. 타인의 관점과 입장을 이해하는 능력이 도덕성의 출발이라고, 그 능력은 자라면서 획득된다고 프로그램의 화자는 말한다.

"흥미로운 실험인 걸?"  나는 저녁 때 유치원에서 돌아온 아들에게 프로그램에서 했던 실험을 재현해 보았다. 자신이 실험 대상이 된 줄 모르고 아들은 아빠가 재미난 게임을 하자고 생각했는지 연신 싱글벙글이다. 프로그램처럼 두 개의 인형을 위치시킨 다음에 동일한 질문을 던지니, 아들은 타인의 관점에서 대답을 했다. 나이가 우리나라 나이로 7살이니 당연한 답변이었지만 "야, 우리 아들 다 컸네"라며 볼을 살짝 꼬집어 주었다.

테스트를 더 해보고 싶었다. 그래서 오른쪽, 왼쪽을 맞히는 게임을 해보면 어떨까? 아들과 나는 서로 마주 앉았다. 그런 다음 이렇게 게임을 진행했다.

나      :   "너의 오른손을 들어봐"
아들   :  (오른손을 번쩍 든다)
나      :   "너의 왼손을 들어봐"
아들   :  (역시 왼손을 번쩍 든다)
나      :   "아빠의 오른손이 무엇이게?"
아들   :  (0.5초 정도 주저하다가 내 오른손을 정확히 짚는다)
나      :   "딩동뎅~~"

이번엔 좀 어렵게 해봤다. 내 두 손으로 "X"자를 만든 다음에 무작위적으로 "아빠의 오른손(왼손)이 무엇이게?"라 질문했다. 아들은 상당히 재미있어 하면서 척척 맞혔다. 팔을 꽈배기처럼 꼬는 나의 고난도(?) 자세에도 손이 어느 쪽 팔에서 시작됐는지 죽 살펴보면서 잘도 맞혔다. (팔을 꼬는 자세, 생각보다 무지 어렵다. -_-; )

내 기억으로는 불과 1~2년 전만 해도 타인의 오른쪽/왼쪽을 구분하지 못했는데 "이제 너의 도덕성도 쑥쑥 자라는 중이구나!" 팔불출 아빠처럼 나는 소박하게 기뻤다.

프로그램 말미에 어른들의 행동을 무의식적으로 따라한다는 실험 결과를 보았다. 어른은 아이들의 거울이란 말을 실감했다. 내가 도덕적으로 행동해야 내 아들의 도덕성도 건강해지리라 생각하니 꽤나 반성이 된다. 조심해야겠다.


  
,